728x90

2025/01 3

코드포스 2057A) Mex Table

Mex Table 코드포스에서 쉬운 문제중 하나인 Mex Table 이 문제는 풀기 쉬운편에 속한다. 일단 문제를 풀기 위해 MEX 함수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MEX 함수는 0을 포함한 음이 아닌 정수중 collection 에 나열되지 않은 가장 최솟값을 뜻한다. 예를 들면, 아래식은 반드시 0의 값을 가진다.$$ MEX({1,2,3,4}) = 0 $$이 값이 반드시 0을 가지는 이유는 0을 포함한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0이 가장 작은 값이기때문이다. 이해가 안간다면, 검색을 해봐도 좋고, 문제를 다시 읽어봐도 좋다. 일단 MEX 는 이렇게 설명하고 넘어가겠다. 사실 문제에서 페이크인지 일부러 적어둔지는 모르겠지만, 사용할수 있는 가짓수를 정렬해서 값을 최대화 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실상 이리..

Algorithm 2025.01.18

[선형대 수학] 벡터의 내적(inner product)

선형대수학을 하다보면 이런저런 학창시절에 배운 수학 지식이 필요하다. 학창시절에 수학을 하고, 성인 되고나서는 거의 안하다 시피 해서 까먹었는데 요즘 인공지능을 공부하다 보니 다시 선형대수학을 공부하며 나머지 수학 지식들도 정리중이다. 공부하다보니, 시간이 촉박하여 잘 정리하지는 못하는데 수학적인 지식을 오랜만에 정리해보려고 한다. 벡터의 내적벡터의 내적(inner product)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나만큼 수학에 무지하다는 생각으로 글을 작성하겠다. 일단, 벡터의 내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삼각함수 부터 들어가보자.삼각함수삼각함수는 쉽게 말해 각(theta) 를 기준으로 인접한 변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Math 2025.01.08

Affine 계층 계산 그래프에서 역전파시 전치행렬이 나오는 이유

Affine 계층을 보면 1번의 네모 박스에서 갑자기 전치행렬이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수학적으로 사고가 조금 되시는 분들은 왜 전치행렬이 등장하는지 아실수 있을거 같으나, 이전에 스칼라를 이용해 역전파를 구성했을때는 전치행렬이 아닌 그냥 W 가 곱해져야 하는게 아닌가? 라고 사고할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나와같이 이런 궁금중을 가진 사람이 또 존재할까봐 한번 수식으로 증명해보며 확인해보려고 한다.탐구이럴때는 사실 작은 예시를 하나 만드는게 가장 편하다. 아래와 같은 작은 식이 하나 있다고 해보자 $$Y = W*X$$ X, W, Y 에 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X 는 (1,2) 행렬이다.W 는 (2,3) 행렬이다.W*X 의 곱의 결과가 Y 이므로 Y 는 (1,3) 의 행렬이 된다.$$X = ..

AI 2025.01.04
728x90